HOME > Business > 구축사업

구축사업


삼성SDS의 파트너사로, 데이터센터 운영에 필요한 여러 관리시스템들을 개발하고 유지보수를 하며
쌓아 온 기술력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다양한 시스템 구축 및 유지보수(SI/SM)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주요 업무 및 개발 분야는 다음과 같습니다.
  • IT 자원 및 자산 관리 시스템
  • 종량제 관리 시스템 / 미터링 및 빌링 시스템
  • 클라우드 솔루션 연동 및 서비스 관리 시스템
  • 업무 프로세스 관리 시스템
  • 각종 운영 시스템 연동 데이터 대시보드 및 CI코드 관리
IT 자산관리 시스템 (ITAMS, IT Asset Management System)

IT에 관련된 자산의 지출 내역과 성격 등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분류하고 통계 수치를 만들어 각종 IT 자산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 기업이 경영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IT 자산의 전체 수명 주기 관리를 통한 관리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자산, 장비의 운영 상태를 파악하여 중복 투자를 감소시키고, 연관성 있는 타 부서와의 원활한 업무 조율 및 효과적인 데이터 공유가 가능하도록 지원해 주는 시스템이다.

자산관리시스템 구조도

자산관리시스템 흐름도

종량제 관리 시스템 (UtilityComputingManagementSystem) / 미터링 및 빌링 시스템 (Metering&BillingSystem)

종량제(유틸리티 컴퓨팅)란, IT 업체가 컴퓨팅파워, 스토리지, 애플리케이션, 네트워킹, 자원 등 IT 기능을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고 고객은 사용한 서비스만큼의 비용을 부담한다는 개념이다. 기업입장에서는 사용한 만큼만 지불하므로 비용이 절감되고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빌링시스템이란, 사업자가 자사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입자에 대해 요금을 계산, 청구하고 수납하는 등 요금 관련 업무를 자동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전산 시스템이다. 빌링시스템은 규모의 유연성, 다른 시스템과의 신축적인 연계, 통합가능, 고객관리, 이용 신청관리, 사용량 관리, 요금 청구관리, 매출 수납관리, 미수 채권관리, 정산관리, 영업 현황관리, 코드관리, 운영관리 등의 종합적인 영업 지원기능으로 구성되어 있다.

미터링은, 서버 사용률, 스토리지 할당/사용량, 백업 용량 등의 사용량을 수집, 분류하여 빌링시스템에 제공한다.

클라우드 서비스 관리 시스템 (Cloud Computing Service Management System)

클라우드 서비스란, 구름(Cloud)과 같이 무형의 형태로 존재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의 컴퓨팅 자원을 자신이 필요한 만큼 빌려 쓰고 이에 대한 사용요금을 지급하는 방식의 컴퓨팅 서비스로, 서로 다른 물리적인 위치에 존재하는 컴퓨팅 자원을 가상화 기술로 통합해 제공하는 기술을 말한다. 클라우드로 표현되는 인터넷 상의 서버에서 데이터 저장, 처리, 네트워크, 콘텐츠 사용 등 IT 관련 서비스를 한번에 제공하는 혁신적인 컴퓨팅 기술인 클라우드 컴퓨팅은 ‘인터넷을 이용한 IT 자원의 주문형 아웃소싱 서비스’라고 정의되기도 한다.

업무 프로세스 관리 시스템 (Business Process Management System)

기업 내외의 업무 프로세스를 가시화하고, 업무의 수행과 관련된 사람과 시스템을 프로세스에 맞게 실행, 통제하며, 전체 업무 프로세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최적화할 수 있는 변화 관리 및 시스템 구현 기법. 지속적으로 성장, 변화, 발전하며, 각 프로세스 흐름을 이해하고, 기술 솔루션인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 시스템을 기반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직접 구현한다는 가정을 전제로 한 시스템이다.

기타 운영 시스템 연동 데이터 대시보드 및 CI코드 관리

CI코드(공통식별코드, Common Identification Code) 관리란, 여러 시스템별로 개별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코드 체계를 중앙에서 직접 생성, 수정, 배분 관리함으로써 시스템 연동 시 표준화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정확한 처리, 통계,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대시보드는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실시간 처리, 설정된 주기의 데이터 처리, 대용량 데이터 처리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표, 그래프, 차트 등으로 표현한다.